꼭 알고 있어야 할 자율주행 기술 6단계

꼭 알고 있어야 할 자율주행 기술 6단계

자율주행기술은 완성차 업체보다 미국의 ICT기업인 구글, 애플, 우버 등이 상황판단 및 주행전략을 수립에 필요한 AI기술을 기반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자율주행 기술 6단계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율주행 기술 분류

자율주행기술의 단계별 분류를 레벨 0부터 레벨5까지의 분류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학습을 할 때도 초급반, 중급반, 고급반으로 넘어가듯이 자율주행 기술에도 이러한 단계가 있습니다.

자율주행시스템이 운전에 어떻게 관여를 하는지, 이때 운전자가 차를 어떻게 제어를 하는지에 따라서 비자동화에서 완전자동화까지 점진적으로 0단계부터 5단계로 구분을 합니다. 2016년부터 국제자동차기술협회 (SAE International)에서 분류한 단계가 글로벌 기준입니다.

레벨 0부터 레벨 5까지
자율주행기술 단계별 분류

2. 자율주행 기술 6단계

출처 : 현대자동차 홈페이지

레벨0 (비자동화단계)

운전자가 상황을 파악하고 운전을 하는 상태를 말하며, 주행 중 안전을 위해 시스템이 단순히 경고하고 일시 개입하는 전방 충돌방지보조(FCA), 후측방 충돌경보(BCW) 등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레벨1 (운전자보조단계)

특정 주행모드에서 시스템이 조향(주행방향을 조종하는 일) 또는 가속/감속 중 하나를 수행하는 차로, 유지보조(LFA),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이 장책 되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때에도 운전자는 상황을 파악하고 운전을 하는 경우입니다.

레벨2 (부분자동화단계)

특정 주행모드에서 시스템이 조향(주행방향을 조종하는 일) 또는 가속/감속 중 하나를 수행하는 차로, 유지보조(LFA),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이 장책 되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때에도 운전자는 상황을 파악하고 운전을 하는 경우입니다.

레벨3 (조건부자동화단계)

레벨 2까지는 시스템이 주행을 돕는 역할을 하지만, 레벨 3에서는 특정 모드에서 시스템이 주행을 직접 수행을 합니다. 자동차 스스로 차선을 변경하고 앞차를 추월하거나 장애물을 피할 수 있게 됩니다. 

레벨 3는 차량 제어와 주행환경을 동시에 인식하지만, 자율주행 모드 해제가 예상될 경우 운전 제어권의 이양을 운전자에게 요청해야 됩니다.  운전자는 시스템이 요청시에 운전을 해야 됩니다.

테슬라가 레벨3 근접해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레벨4 (고도자동화단계)

레벨 4는 시스템이 전체 주행을 수행하는 점은 레벨 3와 동일합니다만, 위험 상황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점이 큰 차이점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시스템이 정해진 도로와 조건하에서 운행을 합니다. 이때부터 운전자는 시스템에 개입을 하지 않습니다.

구글의 웨이모가 레벨4 해당됩니다.

레벨5 (완전자동화단계)

레벨 4는 자율 주행을 할 수 있는 지역에 제한이 있습니다만, 레벨 5는 이러한 제약이 없는 완전자동화 단계를 말합니다.

아직 레벨5 해당하는 기술이 없으며 2023년에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자율주행 기술 시장

자율주행의 글로벌 시장규모는 연평균 41% 성장하여 2035년에는 1조1,204억달러로 완전자율주행차의 시장점유율이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완성차 업체를 포함하여 구글, 아마존, 애플 등의 ICT업체들, 우버와 같은 차량공유업체들은 향후 종합 모빌리티 공급 및 서비스 업체가 되고자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 시대에는 스마트폰처럼 제조보다는 종합 플랫폼 솔루션 업체가 시장 지배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종합 플랫폼 솔루션 업체
구글, 아마존, 애플
이스트프렌즈는 경험의 시간을 소중히 생각합니다.

혹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기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꼭 알고 있어야 할 자율주행 기술 6단계”의 1개의 댓글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