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부. 바쁜 창업자를 위한 정책자금 지원금 꿀팁
정책자금 지원금 종류에 대해서 대표님은 어느정도 알고 계시나요? 창업자에게 정책자금 지원금이 어떤종류가 있는지 알지 못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분들은 많이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정부자금 지원금을 모두 이해하지 못하더라고 핵심이 되는 6가지 정책자금에 대해서만 이해 하시면 나에게 맞는 정책자금을 찾는데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 정책자금 지원금 꿀팁을 포함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대표님에게 맞는 지원금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정책자금 지원금 꿀팁
1. 정책자금 지원금의 형태 이해하기
정책자금에는 은행을 거치지 않고 기관이 직접대출하는 방식과 보증기관에서 보증서를 발급해서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가. 직접대출기관 (대출)
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진공)
2.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진공)
나. 신용과 기술을 담보로 보증서발급을 기관 (보증)
1. 신용보증기금 (신보)
2. 기술보증기금 (기보)
3. 신용보증재단 (지역신보)
4.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 (농신보)
보증기관에서 보증서를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습니다. 이때 보증서는 대출금의 75%~100%로 발급을 하는데 일부는 기업의 신용으로 받아야 됩니다. 가능하면 보증기관에 100%로 발급요청을 하세요.

직접대출 > 간접대출
직접대출은 금리가 2.0% > 간접대출은 금리가 3.5%
관련링크 : 창업 자금 쉽게 확보하는 5가지 방법
2. 정책자금 지원금의 지급 구조이해하기
아래 그림을 참조해서 보시면 보증과 대출로 나누어진 정책자금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출은 중진공/소진공에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선정이 되시면 직접 대출을 해줍니다. 은행을 통하지 않고 직접 대출을 해주기 때문에 금리(기준금리 2.0%)가 낮습니다. 그리고 운전자금은 5년(거치기간 2년, 3년 분할납부)으로 매년 갱신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업을 하시는 분들이 이 자금을 받기 위해서 줄을서고 있는데 대부분 년초(1-2월)에 자금이 소진이 되어버립니다. (이자금을 받기 위한 꿀팁은 별도로 제공하겠습니다.)
보증은 신보/기보/재단에서는 돈을 직접 주지않고 보증서를 발급합니다. 이보증서를 가지고 거래하시는 은행에 가셔서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보증서는 1년 마다 갱신을 하셔야 되며, 100% 보증을 해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증서 90%를 발급 받으셨으면 대표님이 나머지 10%에 대해서는 신용 혹은 담보로 제공해야 됩니다.
아래 그림만 이해하시면 정책자금 지원금에 대한 구조를 이해하신 것입니다.

관련링크 : 이것만 있으면 창업 자금 1억 받을 수 있다.
3. 꿀팁!
지금까지 정책자금 지원금의 형태 등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그동안의 노하우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혹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기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